국내 증시는 특별한 어제 미국의 제롬 파월 의장의 금리인상 매파적 발언에 반도체 중심의 매도세에 하락으로 마감했었습니다. 이 영향으로 우리 증시는 하락으로 출발했지만 반발 매수세와 기관의 매수세가 상승으로 이끌었습니다. 코스피는 철강금속, 보험주의 상승, 코스닥에서는 게임, 2차전지주의 강세가 돋보였습니다.
코스피 시장 시황
코스피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적 금리인상 발언에 긴축 경계감이 높아지면서 하락으로 출발했지만 기관의 매수세 가담에 0.43% 소폭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개인 1056억원, 외국인 1068억 원의 매도세속에서 기관은 2141억 원의 매수세를 보이며 지수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살펴보면 POSCO홀딩스 3.53%, LG에너지설루션 1.97%, 삼성전자 1.13% 순으로 상승, 현대차 -0.98%, SK하이닉스 -0.96%, 기아 -0.6%, LG화학 -0.28%, 삼성바이오로직스 –0.13% 등의 순으로 하락했습니다.
코스닥 시장 시황
코스닥 시장 역시 전일 대비 0.08% 상승한 876.38 포인트를 기록했으며, 코스피와는 다르게 개인이 446억 원 매도했으나, 기관 457억원, 외국인 542억 원 매수세를 보이며 소폭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을 살펴보면 엘앤에프 1.63%, 에코프로비엠 1.34%, 셀트리온헬스케어 1.33%, 셀트리온제약 1.16%, 펄어비스 0.59% 순으로 상승했으며, 카카오게임즈 -1.4%, HLB -1.11%, JYP Ent. -0.3% 순응로 하락했습니다.
국내증시 분석 및 대응
결국 조금 부드러워지기를 기대했었던 제롬 파월 의장 발언은 추가 금리인상에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다음 CPI 등의 경제지표를 확인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의 방향성이 잡힐 듯 보입니다. 일단은 연방준비제도는 금리인상에 강경한 입장임을 확인했습니다. 다행스럽게 국채 금리가 상승하지 않은 점과 환율이 급등하지 않았던 점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었습니다.. 향후 미국 국채의 흐름과 환율의 상승여부 등을 잘 살펴보면서 시장의 반응에 대응해 할 것 같습니다.
개인의 의견입니다. 투자의 최종책임은 본인의 몫이니 현명한 판단으로 성투하시기를 바랍니다.
'특징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테마주 경농 주가 전망 / 장마관련주, 태풍관련주 (1) | 2023.06.25 |
---|---|
오늘 증시 시황 / 아름다운 조정 장세 기대해봅니다. (1) | 2023.06.24 |
오늘 증시 시황(6월21일) / 제롬 파월 의장 발언 주시 (1) | 2023.06.22 |
오늘 주식 시황(6월 20일) / 결국 미국 시장의 분위기를 살펴야 할 시기 (1) | 2023.06.21 |
오늘 주식 시황(6월 19일) / 외국인과 기관 동반 매도 / 환율 상승 (1)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