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일기/투자정보

이번주 증시 전망 KOSPI 상승 급반전 중국의 경기회복 주시

by 김과장 에세이 2023. 7. 17.
반응형

 

 

지난주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의 발표는 6월 CPI가 예상치를 밑돌면서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또한, 연준이 강조하는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역시 예상치를 하회하여 물가 상승률의 둔화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7월 기준금리는 0.25bp 상승하더라도 향후 기준금리 방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전세계 시장은 상승 흐름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이번주증시전망

이번주 및 하반기 우리 증시는 어떤 분위기속에서 투자전략을 만들어가야할 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전략과 주목해야 할 업종

외국인 투자자들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의 업종을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시장이 하락세를 겪었다가 상승을 시작할때 우리 증시는 무조건 반도체, 2차전지, 자동차 등의 대형주에 먼저 매수세가 있음을 명심해야겠습니다. 또한, 최근 외국인 순매수가 이루어진 업종은 소프트웨어, 건강관리(제약/바이오), 상사/자본재, 필수소비재, 소매(유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업종은 단기 트레이딩에 주목해볼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하반기 전망 및 중국의 영향

대신증권에서는 하반기 전망을 통해 KOSPI가 2,800선을 돌파할 가능성이 있으며, 하반기 목표치를 2,780p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7월과 8월 중에 KOSPI가 2,800선을 돌파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은 12개월 선행 EPS와 BPS가 계속 상향 조정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밸류에이션 측면에서도 지지선과 상승목표치가 추가적으로 상향조정될 수 있습니다.

 

중국 경기회복 기대

중국 경기불안심리가 확대되고 있지만, 이미 주식시장에 상당 부분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됩니다. 중국 경제지표 서프라이즈 인덱스가 하회하면서 중국 경기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졌으며, 향후 중국 경제지표 결과가 예상에 부합하거나 양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중국 경기회복에 대한 신뢰를 다시 얻을 수 있습니다.

 

외국인 순매수와 투자 전략

국내 펀더멘털 동력에 중국발 훈풍이 가세하면서 위안화와 원화의 강세 압력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외국인 순매수가 유입되어 KOSPI 상승을 이끌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중국 경기안정 – 위안화 약세 진정 – 원화 약세압력 완화 및 강세 전환 – 외국인 수급 개선이라는 순환 구도가 KOSPI 상승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KOSPI는 중요한 지지권을 넘어 급반전을 이루고 있으며, 하반기 전망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시장상황들을 주시하며 조심스럽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시기입니다. 외국인 투자의 흐름과 주목할 만한 업종을 파악하여 투자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많은 참고자료를 조사하여 현명하고 지혜롭게 투자를 해나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