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징주 분석

오늘 미국 증시 시황 / 미 FOMC 금리동결

by 김과장 에세이 2023. 6. 15.
반응형

미 FOMC는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 하지만 올해 중 2회가량의 추가인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증시는 하락을 하였는데 연준의 제롬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 제어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긍정적 발언이 나오자 하락분을 만회하면서 최종 마감했다.

 

뉴욕증시
뉴욕증시(네이버증권 발췌)

뉴욕시장의 혼조세, 매파적 연준

다우존스는 -0.68%,  S&P 500 +0.08%,  나스닥 0.39% 상승하면서 거래를 마쳤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이사회(FED) 의장은 FOMC 이후 기자회견에서 금리동결을 밝히며 "우리는 정책금리를 5% 올려 빠른 속도로 화폐 보유량을 줄였다. 그 효과 많은 인플레이션을 제어하는 근거를 만들어냈지만 긴축의 완전한 효과는 아직 느껴지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7월 기준금리에 대해서는 상황변화에 맞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상황을 보고 유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므로  향후 인플레이션 지표가 금리인상의 주요한 방향성이 될 것이다.

 

인플레이션의 제어가 중요

예상대로 미 FOMC는 금리동결하였지만 시장의 예상대로 연준은 매파적 금리동결을 하였다. 현재 시장의 상황을 정리해보면, 5월 CPI는 4.0%로 예상치대로 나왔지만 근원 CPI(에너지, 식료품 제외)는 5%대로 아직 높은 상황이다. 변동성이 심한 에너지, 식료품 가격을 뺀 근원 CPI가 좁혀지 않으면 금리를 더 올려야 하며, 이웃의 캐나다, 호주도 금리인상 중단 이후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아 금리인상을 했다. 미 연준도 6월 금리동결로 우선 시장을 달랜후에 상황을 지켜보며 추가적으로 금리인상을 실시할 수도 있다.

 

애매한 포지션의 주식시장

오늘 국내 주식시장 역시 애매한 분위기를 연출할 것인가? 아니면 CPI와 금리동결 이슈를 등에 엎고 상승으로 갈 것인가? 애매한 포지션이다. 어제 코스닥 에코프로 형제가 급락을 한 이유는 미국이 중국의 고션이라는 회사의 미국 내 2차 전지 생산공장 건립을 승인하면서 대형 2차 전지 종목들이 힘을 못 쓰고 하락을 하였을 정도로 현재 우리 시장은 애매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오늘 시장을 잘 지켜보면서 대응하자. 


이 글은 개인의 의견을 담은 주식일지입니다. 투자의 최종책임은 본인의 몫이니 현명한 판단으로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