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브릭스(비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에게 브릭스가 달러 패권에 도전하면 100%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이라는 수출시장과는 이별하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비서방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3개국이 2009년에 결성한 연합체입니다. 최근 미국의 3대 교역국인 멕시코, 캐나다를 상대로 불법이주, 마약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25%의 관세부과를 예고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대한 도전을 하는 나라에게는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계속해서 밝힌바 있습니다. 중국이 가장 적극적인데 위안화 국제화(기축통화), 디지털 기축통화 구성을 갖고 있어 브릭스 국가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결과적으로 중국을 엄청나게 견제하는 분위기인데요. 브릭스 통화를 만들거나 미국의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를 지지하는 순간 100%관세를 때리겠다는 건데요.
앞으로 집권 4년간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에 대해 걱정이 됩니다. 중국도 호락호락 물러나지 않을 것이 분명하고, 미국을 지지하는 다른 국가들과 미국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들의 힘겨루기 우리 나라가 심히 걱정됩니다.
관세가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전자 등이 관세리스크에 노출될 기업으로 보이는데요. 아무래도 기술주 위주의 우리나라 시장은 관세에 대해서 상당히 걱정을 해야 하는 국가입니다.
관세정책은 우리 시장에는 치명적이죠. 중국와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무엇하나 우리나라에 도움될 만한 상황이 하나 없는 지금의 국내 주식시장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기로 보입니다.
돌다리도 두들겨보면서 한발한발 나아가는 자세가 필요한 시기이겠죠?
모든 투자자의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특징주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네트 주가 전망, 탄핵이후 관심 가져볼 종목 (4) | 2024.12.09 |
---|---|
해시그래프는 블록체인의 대항마 (3) | 2024.12.03 |
영풍 지배구조 개선 요구한 머스트자산운용 (1) | 2024.12.01 |
주식시장은 여전히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기 (1) | 2024.11.28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는 헬스케어 관련주에 호재 (4)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