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일기/투자공부

국내주식시장 최근흐름과 설연휴 이후의 포지션

by 김과장 투자 에세이 2024. 2. 13.
반응형

설연휴가 끝이 나고 이제는 일상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입니다. 우리 투자자들은 국내주식시장의 최근흐름과 시장상황을 잘 살피면서 설연휴 이후에는 어떠한 포지션으로 주식투자에 임해야 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국내증시지수 현황
국내증시 코스피 코스닥 지수(출처:다음증권)

 

1


1. 최근 주식시장 흐름

 

최근 국내 주식시장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영향으로 저PBR 관련 종목들의 강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그리고는 설연휴 직전에는 강한 상승 종목들의 차익실현이 발생하면서 조정구간을 거치고 있습니다.

 

그 자금은 또 에코프로의 5대1 액면분할 등의 이슈와 함께 2차 전지 관련주로 그 자금의 흐름이 움직이며 2차 전지 섹터의 상승세를 이끌어 내는 등 자금의 흐름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결국 어떤 종목이든 어떤 섹터이든 한없이 오르기만 할 수는 없고, 분명한 조정기간도 가지고 완전히 고점이 형성되면 하락세를 겪기도 하는 순환이 일어나기 마련인 것 같습니다.

 

 


2. 저PBR 정책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2023년 일본의 자본시장의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을 벤치마킹하였는데요. 이 정책으로 인해 일본은  저PBR 종목들이 강한 상승세를 만들었고 이런 이슈들은 한 6개월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제 고작 1달도 채 되지 않은 상승세로 은행, 보험, 증권, 자동차 섹터 정도가 상승세를 이끌었는데요. 지금 이 저PBR 섹터들이 숨 고르기를 하고 있으니, 또 다른 저PBR 종목을 발굴해볼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반대로 PBR이 1에 근접하거나 초가한 종목들은 자금유입이 멈추게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시장 흐름이기에 하락세를 겪기 이전에 매도를 통해 수익실현을 하던지 아니면 애초에 진입자체를 하지 않은 것은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3. 설 연휴 이후 포지션

 

이미 급등을 한 저PBR 종목들에 대해서는 대응의 시간과 리스크 관리의 포지션으로 전환해볼만한 시기입니다. 설 연휴가 끝나면 통상적으로 주식시장에는 자금이 들어오기도 하는데요.  설연휴 이후의 투자 포지션을 정리해 볼까 합니다.

 

  1. 이미 급등한 종목들은 수익실현을 통해 자금 확보
  2. 수익실현은 했지만 다시 한번의 반등을 위한 눌림목 또는 조정기간 이후의 포지션 주목
  3. 신규 진입 종목은 조정기간을 거친 종목이거나 이제 상승을 시작하려는 종목
  4. 저PBR 종목인 가치주도 좋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주, 성장주로의 관심도 가져볼 때(NAVER 등)

이런 방법으로 단기 테마이슈와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 포지션을 다 생각해 볼 때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다행스럽게 미국 증시의 흐름도 잘 이어가 주는 지금에 조금씩 비중을 늘려가면서 투자전략을 만들어가되 절대로 무리하지 않는 그래서 절대로 물리지 않도록 조심조심 돌다리 두드려가면서 설연휴 이후의 투자 포지션을 잡아가야 할 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