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증시는 모두 하락으로 마감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우리 시장의 악재 중 하나인 중국 증시는 중국 정부의 428조라는 천문학적 자금을 경기 부양책으로 내놓으면서 강한 상승을 하였지만 국내시장은 아직 지지부진한 모습이었습니다. 달러환율이 1337원으로 약상승한 것도 원인으로 보입니다.
어제 주식시장 분위기는?
국내 주식시장은 어제 지수 하락폭에 대비해서 하락종목수는 2배가 넘으며 개별 종목들은 영 시원찮은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었지만 삼성전자 / LG에너지솔루션 등의 시장 주도주인 시총상위 종목들의 부진한 실적이 시장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어제는 웹툰 산업 관련한 문체부 정부지원 소식으로 웹툰섹터 관려주들이 강한 흐름을 보였고, SK하이닉스 HBM(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장비와 관련된 종목들이 강한 상승을 보였지만 특성 섹터만 상승하고 대체적으로 주식시장은 관망세인 듯해 보입니다.
미국 경제지표 발표 / 1월 미 연중 fomc 금리동결 예상
결국 이번주 발표 예정된 미국의 경제 지표와 시장의 심리 또 다음주에 예정된 미 연준 FOMC 기준 금리발표(동결예상)와 파월 의장의 인터뷰 발언에 따라 시장은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이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국내 주식시장도 이에 따른 움직임을 확인한 후에야 시장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 같네요
만약 이번 경제지표와 미 연준의 해석이 경기 침체로 해석을 하면서 경제시장에 악재로 작용한다면 좀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되기도 하지만, 지금 지표가 경제 안정화를 가지고 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면 기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시 한번 높아지면서 시장의 호재로 작용하게 될 것인지 주시해야겠습니다.
사실상 미국 fomc에서 이번 금리 동결은 거의 확정적 분위기이지만 이후 파월의 인터뷰 발언에서 금리 인하 시기를 예측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제발 좋은 방향으로 가기를 기도하면서 오늘도 주식시장은 빨간불들이 많이 켜지기를 기원합니다.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익실현하는 국내증시? 기관만 차익실현, 외국인은 순매수 (0) | 2024.02.06 |
---|---|
파월 발언에 하락한 뉴욕증시, 사상최고치 주식시장 숨고르는 시간인듯 (0) | 2024.02.06 |
주식투자로 성공할 수 있을까? 포기하지 않으면 된다. (2) | 2024.01.27 |
11월24일, 잔잔한 주식시장에서 잔잔하게 모아가는 내 계좌 (1) | 2023.11.24 |
11월 23일, 기관 매도에 강보합 마무리한 국내증시, 외국인 매수세와 환율 하락은 반가운 소식 (1) | 2023.11.23 |